한국의 성씨

전주 이씨(全州 李氏)

운강 이상걸 2023. 3. 10. 11:04
관향
시조
이한(李翰)
중시조
(실질)
이성계(李成桂) 
파조
집성촌
서울특별시 동작구 사당동, 상도동
광주광역시 광산구 수완동
경기도 연천군 삭령면 도연리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읍 서외리
전라북도 진안군 성수면 구신리
전라남도 나주시 금천면 완곡리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 세량리
충청남도 부여군 초촌면 추양리
충청북도 충주시 산척면 영덕리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용산리
함경남도 북청군 속후면 용전리
함경북도 길주군 동해면 석성동
평안북도 정주군 고안면 연봉동
평안북도 정주군 고덕면 관해동
인구
2,631,643명 | 국내 3위[1]
링크

 

1. 개요

전라북도 전주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 조선 대한제국 국성(國姓)으로 조선의 왕족들과 대한제국의 황족이 가졌던 성씨이다. 조선의 태조 이성계는 전주 이씨 시조 이한의 21세손이다.

 

전주 이씨는 이씨 가운데 인구가 가장 많다. 그리고 조선의 국성(國姓)답게 전주 이씨는 전주 이씨만의 독특한 분류가 있다. 태조 이성계의 4대조 이안사 이전의 선원선계(璿源先系)와 이안사로부터 순종까지의 선원세계(璿源世系) 또는 선원본계(璿源本系), 그리고 한 왕조(王朝)를 일으킨 제왕(帝王)은 불감조기조(不敢祖其祖), 즉 어느 특정 씨족의 시조가 아닌 만백성의 어버이가 되므로 태조 이성계를 시조이자 파조로 삼을 수는 없기 때문에 왕자인 대군(大君)과 군(君)을 파조로 하는 선원파계(璿源派系) 또는 선원속계(璿源續系)로 나뉘어진다.

 

1. 기원

시조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 말기 사공(司空) 벼슬을 지낸 이한(李翰)이다. 재미있는 성씨 이야기라는 출처에 의하면 이한의 조상에 대해서는 몇 가지 설이 있는데, 중국에서 기원했다는 설[3] 신라의 토착 성씨인 경주 이씨에서 분적(分籍)했다는 설[4]등이 있다.

 

조선왕조실록에는

 

"완산(完山)은 선원(璿源)이 시작한 곳이라...'' -《태종실록》 태종 12년 8월 20일 임신(壬申) 1번째 기사

 

"완산(完山)은 선원(璿源)이 시작한 곳이라...'' -《태종실록》 태종 12년 8월 20일 임신(壬申) 1번째 기사

 

"삼가 선원의 기원을 살펴보건대, 전주의 명망이 있는 집안으로서, 사공 휘 이한은 신라에 벼슬하여...'' -《태조실록》 4권 태조 2년 9월 18일 경신 2번째 기사

 

"신의 22대 조상 이한에 이르러 신라에 벼슬하여 사공이 되었으며...''-《태조실록》 5권 태조 3년 2월 19일 기축 1번째 기사

 

전주 이씨 시조 이한(李翰)이 신라에서 사공(司空) 벼슬을, 이한의 손자 이천상이 신라에서 복야(僕射) 벼슬을 하였다고 기록되어 있다. 사공은 원래 중국사의 명예직이고, 복야라는 관직은 신라 진성여왕 시기에 최초로 도입되었다고도 하는데, 진성여왕 시기는 통일신라가 끝날 무렵이다. 따라서 이에 따르면 신라에서 복야 벼슬을 하였다고 기록되어 있으니 신라는 삼국시대 신라가 아닌 통일신라를 말한다. 다만 고대의 기록에서 심지어 고려 때까지도 제도가 도입되었다고 하는 시기보다 실제 바뀐 제도에 따라 관직이 임명되는 시기가 매우 늦는 경우가 보통이라 사공이나 복야에 실제로 임명되었는지는 불분명하다. 그런 문제가 아니더라도 거의 대부분 호족들의 성씨가 고려 초 '토성분정'과 이후 '봉미제도'로부터 생겼음을 감안하면, 성씨 제도를 시작한 중국에서 시조가 높은 벼슬을 하다가 왔다거나 통일신라, 고려 초기에 높은 벼슬을 하였다며 가문의 연원을 찾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 경우에 해당할 수도 있다.

 

"토성(土姓)이 9이니, 이(李)•최(崔)•유(柳)•박(朴)•전(全)•유(庾)•한(韓)•백(白)이요...''-《세종실록》 151권, 지리지 전라도 전주부

 

토성(土姓)이라는 것은 그 지역에 뿌리 내린 성씨라는 의미일 뿐 그 지역에서 기원했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세종실록 150권 지리지 경상도 경주부에 나오는 경주이씨 기원 기사와 모순되는 것은 아니다. 다만, 경주를 본관으로 하며 기원이 신라까지 소급되는 9성은 다른 성씨보다 일찍 발생한 성씨였으므로 사성정책이나 이주를 제외한 모든 이씨의 출처를 일괄적으로 경주 이씨로 소급하여 판단했을 가능성이 있어서 분명하지는 않다. 당(唐) 태종 이세민(李世民)도 이씨(李氏) 성(姓)일 정도로 당대 유행하던 성씨이니 그래서 도입했을 가능성도 있다. 아무튼 이는 전주 이씨뿐만 아니라 동성이본(同姓異本)인 성씨들의 공통적인 화제인데, 전주 이씨가 조선 왕가의 성씨이다 보니 독자적인 계통을 중시하는 경향이 있어 이 문제가 유달리 부각된다. 단순히 신라에서 벼슬한 이씨라는 점 때문에 신라 김씨가 경주 김씨를 중심으로 분화한 것과 마찬가지로 신라 이씨가 경주 이씨를 중심으로 분화했기 때문이라는 논리가 적용되었을 수도 있다. 분명한 것은 당시 조선 왕가의 선원 계보가 가문 바깥의 시선에서 봤을 때 경주 이씨와 연결될 여지가 있었다는 것 뿐이다. 어차피 아래의 인천 이씨 관계설에서 보듯 이광희(李光禧) 이전의 선계 자체가 불분명하기 때문에 당시나 지금이나 이러한 이야기는 모두 설에 불과하다.

 

전주 이씨와 인천 이씨의 관계에 대해서도 특이한 부분이 있다. 전주 이씨의 시조 이한, 이자연, 이천상과 인천 이씨의 이한, 이자연, 이자상으로 이어지는 부분을 보면, 이름과 한자의 차이점과 이자연의 아들 이천상, 이자연의 형제 이자상으로 관계가 다른 점을 제외하면, 거의 동일하다. 만약 이들이 서로 동일인이라면, 인천 이씨 시조의 허씨 분적설이 정설이다 보니 인천 이씨와 경주 이씨와의 관계가 설명돼야 할 것이다. 다만, 전주 이씨 이한, 이자연, 이천상은 조선 왕조가 일어나면서 추가된 부분으로 이성계의 위화도 회군 전에 쓰여진 '이자춘 신도비(李子春 神道碑)'에 기록된 이성계 가문의 내력에는 전주 이씨 시조로 이광희(李光禧)가 나온다. 즉 이성계가 조선을 세우면서 이광희 위로 이한, 이자연, 이천상이 추가되었는데, 이는 전주 이씨가 왕가(王家)로 일어서자 가문의 격을 더욱 더 높이기 위해 고려에서 최고 명문가로 손꼽히던 인천 이씨로부터 가져온 게 아닐까라는 추측을 해볼 수도 있다. 이자겸의 난을 일으킨 인천 이씨 이자겸의 작위가 한양공(漢陽公)에 조선국공(朝鮮國公)이었으니 실로 기이한 일로 이와 관련해 조선과 한양이 인천 이씨의 나라와 도읍이 되려다가 전주 이씨의 나라와 도읍이 되었다는 도시전설도 있다.

 

조선 왕실에서는 왕실 계보를 정리하면서 시조인 이한이 신라 태종 무열왕의 10대손 김은의(金殷義)의 딸과 혼인했다고 기록하였다. 《조선왕조실록》 총서와 왕실 족보인 《선원록》의 내용이다. 이는 모계를 태종 무열왕의 계보와 연결함으로써 단일국가의 정통성, 즉 통일신라에서 고려로, 고려를 이어서 전주 이씨가 세운 조선이 통일삼한을 잇는다는 상징적 의미일 가능성이 있다. 조선왕조의 종묘에 고려 공민왕의 신위가 모셔진 것도 이러한 맥락으로 볼 수 있다.[8] 다만 태조 이성계가 조선을 세우면서 이한의 묘가 있다는 전주 건지산(乾止山) 일대를 샅샅이 뒤졌을 만큼 이한(李翰)은 실존했던 인물로도 볼 수 있으므로 당연히 실제 혼인했을 수도 있다.

 

이성계가 역성 혁명을 일으켜 고려를 몰아내고 스스로 왕이 되어가는 과정에서 많은 권문세족들이 숙청당했지만, 대부분의 고려 귀족은 조선으로 그대로 이어졌다. 조선 초기에 이들 양반의 수는 소수였고, 17세기 광해군이 공명첩을 시행하면서 급격하게 성씨를 쓰는 이들이 늘어나게 되는데, 돈을 주고 벼슬을 사는 매관매직이 늘어난 탓이었다. 물론 이는 재력이 뒷받침 되어야만 가능했다. 임진왜란의 폐해를 극복하기 위해 세수가 필요했고, 신분제가 흔들릴지도 모른다는 우려에도 불구하고 공명첩을 시행한다.

 

조선 말기인 1894년(고종 31년)에는 갑오개혁의 실시로 신분제도가 철폐되고 모든 국가 제도가 근대적으로 바뀌게 되면서, 양반 상민의 신분 격차가 없어지고, 매관매직, 족보를 사고 파는 행위는 더욱 늘게 된다. 1909년 4월 1일 일제가 모든 사람이 성씨를 갖도록 하는 민적법을 시행하면서, 상당수 성씨가 없던 사람들이 성씨를 갖게 되었다. 일제강점기가 들어서면서 족보를 세탁하다 간혹 다른 집안끼리 1대 조상(시조)이 겹치는 웃지못할 경우가 있었는데, 이럴 땐 애초 다른 집안끼리라도 족보를 아예 합쳐버려 같은 집안으로 만들어버리는 웃지 못할 합본 행위도 성행하였다.

 

당연하지만 모든 전주 이씨가 이안사부터 시작되는 왕의 자손인 것은 아니다. 이른바 '선계'라 하여 이안사 이전에 갈라진 계파들이 존재하며 이들 중 상당수는 이안사와 달리 전주 지역에 남아있었다. 전주 한옥마을 인근의 오목대는 황산대첩에서 승리한 이성계가 전주에 살고 있던 전주이씨 친척들을 초대해 잔치를 벌인 곳이라는 전승이 남아있다.

 

조선이 건국되기 이전의 이성계 직계 집안은 전주 이씨 종가가 아니었다. 종가는 장남의 직계 후손인데 이성계의 직계 조상은 이한의 장남 후손 즉 종가가 아니었다. 그러다가 이성계네가 조선을 건국하고 왕이되면서 종가, 종주 자리를 가져와서 현재도 전주 이씨 종가, 종주는 대한제국 황제위 요구자 이원이다.

 

3. 상세

조선시대 당시의 전주 이씨 사람들은 대군의 4세손(현손), 왕자군의 3세손까지의 극소수만이 공식적으로 왕족으로 대접 및 규제를 받았으며 조선 후기와 대한제국으로 갈수록 왕손이 귀해지면서 전주 이씨에서 왕족이 차지하는 비율은 급격히 줄어들게 된다.[12] 이외의 전주 이씨들은 다른 양반들과 별반 다른 게 없었다. 가장 대표적인 예로 충무공 이순신과 동명이인인 무의공 이순신. 양녕대군의 6대손이라 조상들과는 달리 종친이 아니라서 실무관직에 나갈 수 있었다. 다만 세금면제와 양반이면 다 받는 병역면제가 주어졌다. 원래는 관리가 되어야 병역이나 세금면제였지만, 조선 후기에 양천제 반상제로 바뀌어 가면서 다 빠져나가긴 했다. 그래도 왕족의 후손이라 전주 이씨 출신의 서얼들은 양반과 같은 대우를 받았고, 2차 왕자의 난 때문에 왕족 대우 못받은 회안대군 이방간의 후손들도 《선원록》에 오르려 애를 써서 숙종 때 소원성취했다.

 

조선왕조의 종친인 전주 이씨는 '이(李)' 성을 쓰는 어떤 집안과도 혼인하지 않는다. 조선 세종대왕 때 '같은 성씨를 쓰는 것은 본관은 다르더라도 근본이 같은 것'으로 해석하여, 간택에서부터 동성이본(同姓異本), 즉 이(李)씨 성의 배우자는 완전히 배제했기 때문이다. 현재 대한민국에서 민법상 동성동본간 통혼도 가능하기에 큰 의미가 있겠나 싶지만 적어도 조선 시대가 멸망할 때까지 이 불문율은 상당히 철저하게 지켜졌다. 그래서 조선 시대 왕비 중에 이씨가 없고, 나아가 왕가에 시집간 이씨가 없다. 후궁 중에는 이씨가 간혹 있으나, 정실 왕비 중에는 전혀 없다.[17] 따라서 외척 세력 중에 이씨 자체가 없다. 유일한 예외라면 조선 건국 전 인물인 추존 대왕 목조의 부인 효공왕후 평창 이씨 정도 뿐이다. 조선 이전인 고려 시대에는 전주 이씨인 왕비가 한 명 있는데, 강종의 왕비인 사평왕후(思平王后) 이씨이다. 이의방의 딸이며 조선 왕실의 직계 조상인 이린의 조카이다. 강종이 태자 시절 태자비였다가 이의방이 몰락하자 폐출당했으며, 이후 강종이 즉위한 뒤 사평왕후로 추숭했다.

 

매천야록》에 따르면 이렇게 전주 이씨가 많아진 것은 흥선대원군이 왕권을 강화하고자 전국적으로 전주 이씨를 발굴했기 때문이라고 한다. 그리하여 주요 관직에 전주 이씨들이 줄줄이 오르게 되면서 규모가 압도적으로 커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매천야록》은 저자 황현이 큰맘 먹고 쓴것도 아니고, 야사에도 못오를 수준의 당시 흘러다니던 야담들을 수록했으니 마냥 신뢰할만한 기록은 아니다. 예를 들어 이완용이 며느리와 바람 피우는 장면을 일본 유학에서 돌아온 장남이 보고 충격받아 자살했다는 이야기나, 김병국과 민규호가 그렇고 그런 사이였는데 김병국이 이조판서가 되자 민규호가 "당신이 판서이니 이제부터 나는 정경부인"이라고 했다는 허무맹랑한 이야기가 수록되어 있는등 그 수준을 감안해야 한다.

 

조선 전기에 일찍 분파한 파일수록 후손의 수가 많아 현재 효령대군파, 양녕대군파, 광평대군가 현재 각각 금메달, 은메달, 동메달을 차지하고 있다. 그리고 조선의 국성 아니랄까봐 과거 합격자의 수가 상당히 많아서, 생원과 진사과, 문과를 합쳐서 최다 합격자를 배출했다. 전주 이씨는 왕성이니 예외이지만 일반 가문들을 급제자 수로 서열을 매기는 것은 아무런 의미가 없다. 하급관리는 아무리 많아도 쳐주지도 않는다. 전주 이씨는 혜택도 많지만 권력이 커지면 왕권에 위협이 될 수도 있기 때문에 제약도 많았다. 전주 이씨는 왕실의 번영을 위해서 왕손이 많을수록 좋다며 이를 권장하였으며 또한 이를 감당할 능력이 충분하므로 가령 충녕대군에게 왕위를 양보한 왕의 형제 효령대군 같은 경우는 손자가 33명, 증손자가 109명이었다. 갈수록 후손이 늘어나는건 당연하다.

 

전주 이씨 종친회인 대동종약원(大同宗約院)의 종묘제례보존회는 1986년 '중요무형문화재보유단체'로 지정되었다. 즉, 문화체육관광부가 공인한 무형문화재 보유 단체로서, 정부에서 대동종약원에 종묘대제(宗廟大祭)의 종묘제례 관련 업무를 위탁한 형식이다. 종묘나 사직 대제 준비현장에 가면 전주 이씨 종친회 노인들이 제사 일로 논의하는 장면을 쉽게 볼 수 있다. 특히 남양주 소재 홍유릉 의친왕, 덕혜옹주, 회은황태손 등의 묘역은 평소엔 접근이 불가능하지만 제사 날짜에 맞춰 가면 손쉽게 입장하여, 제사 과정을 지켜볼 수도 있다.

 

대한민국 초대 대통령인 이승만이 전주 이씨다. 구체적으로는 양녕대군 16대손이고 양녕대군의 다섯째 아들 장평도정 이흔의 큰아들 부림령 이순의 후손이다.[23] 이승만은 미국에서 독립운동을 할 때 조선의 프린스라고 소개하고 미국에서 주요인사들을 만나러 다녔다. 중국, 일본과 달리 서구에 거의 알려져 있지 않은, 그나마도 망해 없어진 아시아 국가에서 온 입장에서 이렇게라도 해야 현지 엘리트층들을 만나는데 도움이 되었기 때문이었다. 프린스 항목에도 나와있듯이 프린스는 단순히 왕의 아들만을 지칭하는게 아니라 넓게는 왕족 혈통의 남자후손을 아우르는 단어이긴 하고, 수많은 중동 왕자들도 그냥 가문의 일원이지 왕위와는 상관 없는 사람들이 거의 대부분이긴 하다. 다만 엄밀히 말하면 프린스는 왕족의 남자후손을 전부 통틀어서 부르는 일반명사가 아니라 엄연한 칭호다.[24] 조선왕조/대한제국이라고 해서 작위 및 칭호 체계가 없던건 아니기에, 대군/친왕이나 대원군/대원왕같은 작호나 왕호가 프린스의 위치에 가깝다. 중동의 씨족사회처럼 조선에 전주 이씨 모두에게 칭호를 돌리는 관례가 있던것도 아니였다. 16대조 조상이 리처드 3세 베네딕트 컴버배치를 프린스라고 부르지 않고, 신적강하당한 고무로 마코를 더 이상 Princess Mako of Akishino라고 부르지 않는 것처럼 서양에서도 당연히 현지 작위 체계가 있다면 현지식을 따른다. 이런 사실을 알고도 프린스를 자칭한 건지 아닌지는 이승만 본인만이 알겠지만 왕손이라고 말하기 위해서라면 Royal blood, Royal offspring, Royal descendant라고 설명하면 된다. 이 항목을 읽고 있는 전주 이씨가 있다면 이승만을 본받아 외국가서 프린스를 자칭하진 말자(....).

 

3-1. 용어

한국의 성씨 중 전주 이씨의 경우 가문에만 쓰이는 독특한 한자 용어가 있다. 임금님의 조상을 '선원(璿源)'이라고 한다든지, '제왕불감조기조(帝王不敢祖其祖)', 또는 '군왕불감기조(君王不敢其祖)'라고 하는 표현 등은 모두 가문의 독특한 용어다. '제왕불감조기조'는 제왕 또는 임금은 감히 그 임금을 시조로 하는 종파의 조상으로 둘 수 없다는 뜻이다. 왜냐하면 임금님은 모든 백성 공동의 부모, 곧 국부이므로 한 파의 시조 또는 중시조(中始祖)가 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임금을 1세로 하여 세대를 따지는 것은 불경스러운 것으로 여기어 왔다.

 

그래서 아래의 다음과 같은 명칭의 계통이 나오게 되었다.

  • 선원선계(璿源先系): 시조로부터 태조 이성계의 직계 조상인 목조 이안사 이전에 갈라진 계통. 직계와 이단신(李端信)을 파조로 하는 시중공파(侍中公派), 이거(李琚)를 파조로 하는 평장사공파(平章事公派), 이영습(李英襲)을 파조로 하는 주부공파(主簿公派), 이윤경(李允卿)을 파조로 하는 대호군공파, 이귀을(李歸乙)을 파조로 하는 문하평리공파가 있다.
  • 선원세계(璿源世系) 또는 선원본계(璿源本系): 왕통(王統)인 이안사 이후부터 순종까지의 계통. 목조 이안사(李安社)의 아들들인 5대군파, 익조 이행리(李行里)의 아들들인 7대군파, 도조 이춘(李椿)의 아들들인 4대군파, 환조 이자춘(李子春)의 아들이자 태조 이성계의 형제인 완풍대군파(完豊大君派)와 의안대군파(義安大君派) 등 18대군파가 있다.
  • 선원파계(璿源派系) 또는 선원속계(璿源續系): 왕자들인 대군(大君), 군(君)에서 갈라진 계통으로 25대군파와 74군파로 도합 99파에 이르지만 후손이 없거나 합친 파도 있으므로 그 수는 줄어든다.

 

총합 125파이나 파를 합하거나 끊어진 것이 있어 105파가 되고, 2012년 현재 전주 이씨 대동종약원에 등록된 것은 86개 파라고 한다.

 

3-2. 전국 분포

전국적으로 인구가 많은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경기도를 제외하고 충청남도, 전라북도, 경상남도, 부산광역시에 많이 살고 있다. 반면 대구광역시 경상북도에는 인구가 매우 적은 데다 경주 이씨가 압도적으로 많아 전주 이씨가 상대적으로 묻히는 감이 있다. 물론 상대적으로 그럴 뿐 실상은 전국에서 세 번째로 많은 성씨인 만큼 다른 성씨에 비해 상당히 많은 것은 사실이다.

 

그 밖에 북한에도 꽤 많이 살고 있는데 특히 함경도 쪽에 많다. 애초에 조선의 건국자 태조 이성계부터 함경도 영흥 출신이니 딱히 이상할 건 없다.

 

4. 전주 이씨 인물

 

  • 이한 - 시조
  • 이자연 - 시조 1세손
  • 이천상 - 시조 2세손
  • 이의방 - 시조 15세손
  • 이린 - 시조 15세손
  • 이양무 - 시조 16세손
  •  

4-1. 선원본계 종주(조선 왕조)

※ 목조~환조의 즉위년은 천호직을 물려 받았을 때이다.

  • 대원 요동천호소 천호
  • 1대 목조 이안사(1255년 ~ 1274년) - 시조 17세손
  • 2대 익조 이행리(1274년 ~ ?) - 시조 18세손
  • 3대 도조 이춘(? ~ 1342년) - 시조 19세손
  • 4대 완창대군 이자흥(1342년 ~ 1342년) - 시조 20세손
  • 5대 환조 이자춘(1342년 ~ 1361년) - 시조 20세손
  • 조선 국왕
  • 6대 태조 이단(1361년 ~ 1398년) - 시조 21세손
  • 7대 정종 이경(1398년 ~ 1400년) - 시조 22세손
  • 8대 태종 이방원(1400년 ~ 1418년) - 시조 22세손
  • 9대 세종 이도(1418년 ~ 1450년) - 시조 23세손
  • 10대 문종 이향(1450년 ~ 1452년) - 시조 24세손
  • 11대 단종 이홍위 (1452년 ~ 1455년) - 시조 25세손
  • 12대 세조 이유(1455년 ~ 1468년) - 시조 24세손
  • 13대 덕종 이장(추존) - 시조 25세손
  • 14대 예종 이황(1468년 ~ 1469년) - 시조 25세손
  • 15대 성종 이혈(1469년 ~ 1495년) - 시조 26세손
  • 16대 연산군 이융(1495년 ~ 1506년) - 시조 27세손
  • 17대 중종 이역(1506년 ~ 1544년) - 시조 27세손
  • 18대 인종 이호(1544년 ~ 1545년) - 시조 28세손
  • 19대 명종 이환(1545년 ~ 1567년) - 시조 28세손
  • 20대 선조 이연(1567년 ~ 1608년) - 시조 29세손
  • 21대 광해군 이혼(1608년 ~ 1623년) - 시조 30세손
  • 22대 원종 이부 (추존) - 시조 30세손
  • 23대 인조 이종(1623년 ~ 1649년) - 시조 31세손
  • 24대 효종 이호(1649년 ~ 1659년) - 시조 32세손
  • 25대 현종 이연(1659년 ~ 1674년) - 시조 33세손
  • 26대 숙종 이순(1674년 ~ 1720년) - 시조 34세손
  • 27대 경종 이운(1720년 ~ 1724년) - 시조 35세손
  • 28대 영조 이금(1724년 ~ 1776년) - 시조 35세손
  • 29대 진종 이행(추존) - 시조 36세손
  • 30대 장조 이훤(추존) - 시조 36세손
  • 31대 정조 이성(1776년 ~ 1800년) - 시조 37세손
  • 32대 순조 이공(1800년 ~ 1834년) - 시조 38세손
  • 33대 문조 이영(추존) - 시조 39세손
  • 34대 헌종 이환(1834년 ~ 1849년) - 시조 40세손
  • 35대 철종 이변(1849년 ~ 1864년) - 시조 39세손
  • 대한제국 황제
  • 36대 고종 이형(1864년 ~ 1907년) - 시조 40세손
  • 37대 순종 이척(1907년 ~ 1926년) - 시조 41세손
  • 제정 폐지 이후
  • 38대 의민황태자 이은(1926년 ~ 1970년) - 시조 41세손
  • 39대 회은황세손 이구(1970년 ~ 2005년) - 시조 42세손
  • 40대 황사손 이원(2005년 ~ 현재) - 시조 43세손

4-1-1. 고종 직계

고종은 생전에 여러 자녀를 두었으나 장성한 자녀는 명성황후 소생 순종과 장귀인 소생 의친왕, 엄귀비 소생 의민황태자, 복녕당 양씨 소생 덕혜옹주까지 불과 네 명뿐이었다. 순종은 두 명의 황후 사이에서 자녀를 보지 못했고, 의민황태자의 장남 이진은 만 1세가 채 되기 전에 요절, 차남 이구가 장성하여 일본에서 지내다 자녀 없이 사망했으며, 덕혜옹주는 일제에 의한 정략혼인으로 쓰시마 후추 번주 소(宗)씨 집안에 시집가 1녀를 두었고, 이 딸은 유서를 남기고 행방불명되었다. 따라서 현재 황손(皇孫)인 고종의 후손은 모두 의친왕의 후손이다. 의친왕은 스무 명이 넘는 자녀를 보았고, 고령이지만 직계 자녀만 해도 아직 10여 명이 생존해 있다. 이들을 통해 고종의 혈통이 이어져 내려오고 있다.

 

황손들 중에 유명한 인물을 아래 적는다. 황손이지만 다른 가계로 입적한 인물의 경우는 해당 가계 항목에 적는다.

  • 이진(李晉): 의민황태자 1세손, 시조 42세손, 의민황태자의 장남
  • 이구(李玖): 의민황태자 1세손, 시조 42세손, 의민황태자의 차남이자 회은황세손
  • 이건(李鍵): 의친왕 1세손, 시조 42세손, 의친왕의 장남, 일본으로 귀화, 귀화 이후 이름 모모야마 켄이치
  • 이곤(李錕): 의친왕 1세손, 시조 42세손, 의친왕의 6남이자 사동궁 1대 사손
  • 이갑(李鉀): 의친왕 1세손, 시조 42세손, 의친왕의 9남, 황사손 이원의 생부
  • 이석(李錫): 의친왕 1세손, 시조 42세손, 의친왕의 10남
  • 이공(李玜): 의친왕 1세손, 시조 42세손, 의친왕의 5녀[32]
  • 이원(李源): 의민황태자 2세손, 시조 43세손, 회은황세손 이구의 양

 

4-2. 주부공파

  • 이태규: 주부공 23세손, 시조 40세손 '圭'자 항렬, 화학자
  • 이홍규: 주부공 23세손, 시조 40세손 '圭'자 항렬. 제6대 대한민국 교정본부 본부장
  • 이회성: 주부공 24세손, 시조 41세손 '會'자 항렬, IPCC 의장
  • 이회창: 주부공 24세손, 시조 41세손 '會'자 항렬, 제26대 대한민국 국무총리
  • 이지훈: 주부공 27세손, 시조 44세손 '勳'자 항렬.

 

4-3 완풍대군파

  • 완산부원군 이천우: 완풍대군 2세손 (양도공 파조), 시조 23세손.
  • 이용익: 완풍대군 17세손 (안소공 16세손), 시조 38세손 '容'자 항렬. 대한제국 군부대신, 탁지부대신[34]
  • 이준: 완풍대군 18세손 (안소공 17세손), 시조 39세손 '在'자 항렬. - 헤이그 특사
  • 이종호: 완풍대군 19세손 (안소공 18세손), 시조 40세손 '鍾'자 항렬.
  • 이낙연: 완풍대군 22세손 (양도공 21세손), 시조 43세손 '淵'자 항렬. - 제37대 전라남도지사, 제45대 국무총리, 제16·17·18·19·21대 국회의원
  • 이석연: 완풍대군 22세손 (양도공 21세손), 시조 43세손 '淵'자 항렬. - 前 법제처장
  • 이진연: 완풍대군 22세손 (양도공 21세손), 시조 43세손 '淵'자 항렬. - 제9·10·12대 국회의원
  • 이보연: 완풍대군 22세손 (양도공 21세손), 시조 43세손 '淵'자 항렬.
  • 이동한: 완풍대군 23세손 (양도공 22세손), 시조 44세손 '東'자 항렬.[35]
  • 이상일: 완풍대군 23세손 (양도공 22세손), 시조 44세손 '東'자 항렬. - 제19대 국회의원, 미래통합당 원내대표 비서실장
  • 이성헌: 완풍대군 24세손 (양도공 23세손), 시조 45세손 '憲'자 항렬.[36]
  • 이기권: 완풍대군 25세손 (양도공 24세손), 시조 46세손 '基'자 항렬.

 

4-4. 덕천군파

  • 완흥군 이억기: 덕천군 5세손, 시조 28세손
  • 이경석: 덕천군 7세손, 시조 30세손. 조선 영의정
  • 이광사: 덕천군 10세손, 시조 33세손.
  • 이규연
  • 이긍익: 덕천군 11세손, 시조 34세손.
  • 이건창: 덕천군 16세손, 시조 39세손 '建'자 항렬
  • 이은찬: 덕천군 18세손, 시조 41세손 '殷'자 항렬.
  • 이철(1966): 덕천군 21세손, 시조 44세손.

 

4-5. 양녕대군파

  • 재령군주: 양녕대군 2세손, 시조 25세손
  • 완천군 이순신: 양녕대군 7세손, 시조 30세손. 조선의 무관
  • 이교선: 양녕대군 16세손, 시조 39세손 '善'자 항렬.
  • 이유선: 양녕대군 16세손, 시조 39세손 '善'자 항렬.
  • 이승만: 양녕대군 17세손, 시조 40세손 '承'자 항렬. 초대 대한민국 대통령
  • 이승엽: 양녕대군 17세손, 시조 40세손 '承'자 항렬. 6.25 전쟁기 북한 점령하 서울 인민위원장
  • 이지훈: 양녕대군 17세손, 시조 40세손 '承'자 항렬
  • 이외수: 양녕대군 18세손, 시조 41세손 '秀'자 항렬
  • 이인수: 양녕대군 18세손, 시조 41세손 '秀'자 항렬.
  • 이승기(리승기): 양녕대군 20세손, 시조 43세손 '基'자 항렬 - 화학자
  • 이승기: 양녕대군 20세손, 시조 43세손 '基'자 항렬 - 가수 겸 배우
  • 이진기: 양녕대군 20세손, 시조 43세손 '基'자 항렬 - 가수, 샤이니의 멤버
  • 이한기: 양녕대군 20세손, 시조 43세손 '基'자 항렬

 

4-6. 효령대군파

4-6-1. 18세손 이전

  • 이량: 효령대군 6세손, 시조 29세손. - 인증
  • 완령부원군 이경록: 효령대군 7세손, 시조 30세손. - 인증
  • 완풍부원군 이서: 효령대군 8세손, 시조 31세손. - 인증
  • 이만의: 효령대군 17세손, 시조 40세손 '儀'자 항렬[A]. - 인증
  • 이옥동: 효령대군 17세손, 시조 40세손 '儀'자 항렬[A]. - 인증
  • 이환의: 효령대군 17세손, 시조 40세손 '儀'자 항렬[A]. - 인증
  • 이기붕: 효령대군 18세손, 시조 41세손 '起'자 항렬. - 인증
  • 이기상: 효령대군 18세손, 시조 41세손 '起'자 항렬[A].

4-6-2. 19세손

  • 리강국: 독립운동가, 인증
  • 이강국: 판사, 인증
  • 이강년[B]: 의병장, 인증
  • 이강년: 관료, 인증
  • 이강덕: 인증
  • 이강두: 인증
  • 이강래[B]: 독립운동가, 인증
  • 이강래: 정치인, 인증
  • 이강석[50]: 인증
  • 이강원[A]
  • 이강호: 인증
  • 이강후: 인증
  • 이강훈[B]: 인증
  • 이강환: 부산광역시 최대 조직폭력배 칠성파 두목
  • 이강희
  • 이근표: 인증
  • 이재희

4-6-3. 20세손

  • 이광재
  • 이만희
  • 이상재: 인증
  • 이성재[A]: 인증
  • 이영재[A]: 코미디언
  • 이옥재
  • 이용재: 정치인, 인증
  • 이은재: 정치인
  • 이정재[A]: 배우
  • 이준원[57]: 인증
  • 이창재: 인증
  • 이학재: 인증
  • 이헌재: 인증
  • 이혁재[A]: 코미디언
  • 이혁재[A]: SUPER JUNIOR 멤버, 인증
  • 이현재[B]: 국무총리, 인증
  • 이현재[B]: 국회의원, 인증

4-6-4. 21세손

  • 이수광: 인증
  • 이수근[A][64]: 코미디언, 인증
  • 이수만
  • 이수혁: 정치인
  • 이정무: 인증
  • 이정백: 인증
  • 이정빈: 인증
  • 이정일: 인증
  • 이정철: 인증

4-6-5. 22세손 이후

  • 이경규: 효령대군 22세손, 시조 45세손 '揆'자 항렬[B].
  • 이상은: 효령대군 22세손, 시조 45세손 '揆'자 항렬. - 인증
  • 이순규: 효령대군 22세손, 시조 45세손 '揆'자 항렬. - 소녀시대 멤버.
  • 이승규: 효령대군 22세손, 시조 45세손 '揆'자 항렬. - 인증
  • 이용진: 효령대군 22세손, 시조 45세손 '揆'자 항렬. - 코미디언
  • 이진규: 효령대군 22세손, 시조 45세손 '揆'자 항렬. - 인증
  • 이계진: 효령대군 23세손, 시조 46세손 '存'자 항렬[B]. - 인증
  • 이도학: 효령대군 23세손, 시조 46세손 '學'자 항렬[B].
  • 이봉학: 효령대군 23세손, 시조 46세손 '學'자 항렬[B]. - 인증
  • 이예림: 효령대군 23세손, 시조 46세손 '學'자 항렬[B].
  • 이준호: 효령대군 23세손, 시조 46세손 '學'자 항렬. - 2PM 멤버.

 

4-7. 광평대군파

  • 이현상: 광평대군 12세손, 시조 36세손.
  • 이인성: 광평대군 16세손, 시조 40세손 '寅'자 항렬[A].
  • 이경하: 광평대군 17세손, 시조 41세손 '夏'자 항렬.
  • 이범관: 광평대군 18세손, 시조 42세손 '範'자 항렬[A].
  • 이범교: 광평대군 18세손, 시조 42세손 '範'자 항렬.
  • 이범석: 광평대군 18세손, 시조 42세손 '範'자 항렬.
  • 이범선: 광평대군 18세손, 시조 42세손 '範'자 항렬.
  • 이범승: 광평대군 18세손, 시조 42세손 '範'자 항렬.
  • 이범준: 광평대군 18세손, 시조 42세손 '範'자 항렬.
  • 이범진: 광평대군 18세손, 시조 42세손 '範'자 항렬.
  • 이국종: 광평대군 19세손, 시조 43세손 '鍾'자 항렬[A]. 외과 의사
  • 이긍종: 광평대군 19세손, 시조 43세손 '鍾'자 항렬.
  • 이원종: 광평대군 19세손, 시조 43세손 '鍾'자 항렬.
  • 이위종: 광평대군 19세손, 시조 43세손 '鍾'자 항렬.[B]

 

4-8. 덕흥대원군파

중종의 서자 덕흥대원군과 그 아랫대에서 갈라져 나온 모든 파이다. 따라서 선조, 인조 이후에 갈라진 파도 여기에 적으며, 이들의 경우 덕흥대원군 기준 세수 옆에 파조를 동시에 적는다. 이들을 함께 묶어놓는 이유는, 덕흥대원군의 후손들은 후대 왕통에서 갈라진 파까지 포함해 서로서로 양자를 주고받고 하면서 긴밀히 교류하고 항렬자까지 통일해 다같은 한 일가란 인식이 강했기 때문이다. 다만 현대에는 이들 덕흥대원군파 출신 후손들 중 친일반민족행위자가 다수 배출된 것이 재조명되는등 부정적 인식도 강해졌고 후손들을 규합할 구심점도 마땅치 않았기 때문에 그렇게까지 유대관계가 끈끈하진 않다.

 

여담으로 금원군파와 영양군파도 덕흥대원군파의 항렬을 공유한다. 금원군은 아들이 없어서 덕흥대원군의 아들 하릉군을 양자로 들였고, 영양군은 덕흥대원군의 동복 형이기 때문이다.

4-8-1. 12세손

  • 완성군 이희: 덕흥대원군 12세손, 시조 40세손. '應'자 항렬.[75] 왕족. 도정궁 종손.
  • 영평군 이경응: 덕흥대원군 12세손 (은언군 3세손), 시조 40세손. '應'자 항렬. 왕족. 철종의 형. 누동궁 종손.
  • 익평군 이희: 덕흥대원군 12세손 (은언군 3세손), 시조 40세손. '應'자 항렬. 왕족. 은언군 종손.
  • 완평군 이승응: 덕흥대원군 12세손 (은전군 3세손), 시조 40세손. '應'자 항렬. 왕족. 은전군 종손.
  • 흥녕군 이창응: 덕흥대원군 12세손 (연령군 5세손), 시조 40세손. '應'자 항렬. 왕족. 연령군 종손.
  • 전(前) 경평군 이인응[76]: 덕흥대원군 12세손 (능원대군 8세손), 시조 40세손. '應'자 항렬. 왕족, 관료, 유학자, 예술인.
  • 이소응: 덕흥대원군 12세손 (경창군 10세손), 시조 40세손. '應'자 항렬. 의병장, 유학자, 독립운동가.
  • 이종응: 덕흥대원군 12세손, 시조 40세손. '應'자 항렬. 유학자, 관료.

4-8-2. 13세손

  • 완창군 이시인: 덕흥대원군 13세손, 시조 41세손. '載'자 항렬.[78] 왕족. 도정궁 종손.
  • 흥친왕 이재면: 덕흥대원군 13세손 (연령군 6세손), 시조 41세손. '載'자 항렬. 왕족. 운현궁 종손.
  • 청안군 이재순: 덕흥대원군 13세손 (은언군 4세손), 시조 41세손. '載'자 항렬. 왕족. 누동궁 종손. 군인, 관료.
  • 덕안군 이재덕: 덕흥대원군 13세손 (은언군 4세손), 시조 41세손. '載'자 항렬. 왕족. 은언군 종손.
  • 인양군 이재근: 덕흥대원군 13세손 (은전군 4세손), 시조 41세손. '載'자 항렬. 왕족. 은전군 종손.
  • 완림군 이재원: 덕흥대원군 13세손 (연령군 6세손), 시조 41세손. '載'자 항렬. 왕족. 연령군 종손, 좌의정.
  • 이재곤: 덕흥대원군 13세손 (경창군 11세손), 시조 41세손. '載'자 항렬. 경창군 종손. 전 대한제국 학부대신.
  • 이재극: 덕흥대원군 13세손 (인평대군 9세손), 시조 41세손. '載'자 항렬. 인평대군 종손. 전 대한제국 궁내부대신.
  • 이재형: 덕흥대원군 13세손 (인성군 10세손), 시조 41세손. '載'자 항렬. 인성군 종손. 전 민주정의당 대표, 전 상공부 장관, 전 국회의장.
  • 이재준: 덕흥대원군 13세손 (인성군 10세손), 시조 41세손. '載'자 항렬. 대림산업 창업주.
  • 이재항: 덕흥대원군 13세손 (영성군 11세손), 시조 41세손. '載'자 항렬. 전 청와대 비서실장.#
  • 이재설: 덕흥대원군 13세손 (신성군 11세손), 시조 41세손. '載'자 항렬. 전 체신부 장관, 농수산부 장관.#

4-8-3. 14세손

  • 경원군 이하전: 덕흥대원군 14세손, 시조 42세손. '鎔'자 항렬.[80] 도정궁 사손.
  • 영선군 이준용: 덕흥대원군 14세손 (연령군 7세손), 시조 42세손. '鎔'자 항렬. 운현궁 사손.
  • 풍선군 이한용: 덕흥대원군 14세손 (은언군 5세손), 시조 42세손. '鎔'자 항렬. 누동궁 사손.
  • 이기용: 덕흥대원군 14세손 (연령군 7세손), 시조 42세손. '鎔'자 항렬. 계동궁 사손.
  • 이인용: 덕흥대원군 14세손 (인평대군 10세손), 시조 42세손. '鎔'자 항렬. 인평대군 사손.
  • 이지용: 덕흥대원군 14세손 (연령군 7세손), 시조 42세손. '鎔'자 항렬. 관료, 을사오적.
  • 이시용: 덕흥대원군 14세손, 시조 42세손. '鎔'자 항렬. 전 삼성생명 대표이사.
  • 이태용: 덕흥대원군 14세손, 시조 42세손. '鎔'자 항렬. 전 국회의원, 전 상공부[81] 장관.
  • 이준용: 덕흥대원군 14세손 (인성군 11세손), 시조 42세손. '鎔'자 항렬. 대림그룹 명예 회장.
  • 이순용: 덕흥대원군 14세손 (경창군 12세손), 시조 42세손. '鎔'자 항렬. 전 내무부, 체신부 장관, 초대 외자청장.
  • 이진용: 덕흥대원군 14세손 (능원대군 11세손), 시조 42세손. '鎔'자 항렬. 전 군인, 국회의원.
  • 이범용: 덕흥대원군 14세손 (신성군 12세손), 시조 42세손. '鎔'자 항렬. 의사, 제4회 〈MBC 대학가요제〉 대상 수상자.
  • 이세용: 덕흥대원군 14세손 (은언군 5세손), 시조 42세손. '鎔'자 항렬. 송파구의회 의원.#
  • 이의용: 덕흥대원군 14세손, 시조 42세손. '鎔'자 항렬. 남양주시의회 의원.
  • 이준: 덕흥대원군 14세손 (흥안군 12세손), 시조 42세손. '鎔'자 항렬.[82] 서양화가. 전 대한민국예술원 회장.#

4-8-4 15세손

  • 창산군 이해창: 덕흥대원군 15세손, 시조 43세손. '海'자 항렬. 도정궁 사손.
  • 청풍군 이해승: 덕흥대원군 15세손 (은언군 6세손), 시조 43세손. '海'자 항렬. 누동궁 사손.
  • 이우: 덕흥대원군 15세손 (연령군 8세손), 시조 43세손 '海'자 항렬.[84] 의친왕의 차남이자 영선군의 양자. 운현궁 사손.
  • 이수길: 덕흥대원군 15세손 (인평대군 11세손), 시조 43세손. '海'자 항렬. 의친왕의 5남이자, 이인용의 양자. 인평대군 사손, 전주이씨대동종약원 이사장. 황실 이름은 이주(李鑄).
  • 이해청: 덕흥대원군 15세손 (연령군 8세손), 시조 43세손. '海'자 항렬. 의친왕의 7남이자, 이기용의 양자. 계동궁 사손.
  • 이해랑: 덕흥대원군 15세손 (능원대군 12세손), 시조 43세손. '海'자 항렬. 연극배우, 전 국회의원.
  • 이해원: 덕흥대원군 15세손 (연령군 8세손), 시조 43세손 '海'자 항렬. 의친왕의 차녀이자, 이기용의 양녀.
  • 이해원: 덕흥대원군 15세손, 시조 43세손. '海'자 항렬. 전 국회의원, 전 보건사회부 장관, 전 서울특별시장.
  • 이해선: 덕흥대원군 15세손 (연령군 8세손), 시조 43세손. '海'자 항렬. 사진가.
  • 이해욱: 덕흥대원군 15세손 (인성군 12세손), 시조 43세손. '海'자 항렬. DL그룹 4대 회장.
  • 이해영: 덕흥대원군 15세손 (연령군 8세손), 시조 43세손. '海'자 항렬. 서울대 교수.
  • 이해조: 덕흥대원군 15세손 (용성대군 11세손), 시조 43세손. '海'자 항렬. 소설가, 교육인, 언론인.
  • 이해진: 덕흥대원군 15세손, 시조 43세손. '海'자 항렬. 네이버의 창립자.
  • 이해찬: 덕흥대원군 15세손, 시조 43세손. '海'자 항렬. 정치인.
  • 이해정: 덕흥대원군 15세손, 시조 43세손. '海'자 항렬. 권투 선수.

4-8-5 16세손 이후

  • 이계주: 덕흥대원군 16세손 (연령군 9세손), 시조 44세손. '柱'자 항렬. 숙명여대 교수.
  • 이남주: 덕흥대원군 16세손, 시조 44세손. '柱'자 항렬. 신화건설 회장.
  • 이방주: 덕흥대원군 16세손 (능원대군 13세손), 시조 44세손. '柱'자 항렬. 현대자동차 부사장.
  • 이봉주: 덕흥대원군 16세손, 시조 44세손. '柱'자 항렬. 마라토너.
  • 이종: 덕흥대원군 16세손 (연령군 9세손), 시조 44세손. '柱'자 항렬. 이우의 차남.
  • 이철주: 덕흥대원군 16세손 (연령군 9세손), 시조 44세손. '柱'자 항렬. 연세대 교수.
  • 이청: 덕흥대원군 16세손 (연령군 9세손), 시조 44세손. '柱'자 항렬. 운현궁 사손. 이우의 장남.
  • LØREN: 덕흥대원군 16세손, 시조 44세손. '柱'자 항렬. 본명 이승주. BJ, 가수.
  • 이웅평[85][86]: 덕흥대원군 17세손, 시조 45세손. '愚'자 항렬. 남도건설 회장, 지원장학회 이사장.
  • 이우영: 덕흥대원군 17세손 (은언군 10세손), 시조 45세손. '愚'자 항렬. 그랜드힐튼 서울, 동원아이앤씨 명예회장, 누동궁 사손.
  • 이우정: 덕흥대원군 17세손(용성대군 13세손), 시조 45세손. '愚'자 항렬[B]. 전 국회의원, 여성운동가, 노동운동가.
  • 이우진: 덕흥대원군 17세손 (은언군 10세손), 시조 45세손. '愚'자 항렬. 중앙대 명예교수.

 

출처 : 나무위키